카테고리 없음

시흥시 거북섬 개발 공실률 및 원인분석 부동산 전망

부동산 전문가이야기 2025. 5. 25. 21:20
반응형

거북섬 개발은 시흥시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큰 기대를 모았지만, 실제 부동산 시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거북섬 부동산 시장은 과잉 공급, 미흡한 수요 예측, 사업성 불확실성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심각한 침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거북섬 웨이브파크 <출처: 나무위키>


서론
거북섬은 해양레저 복합단지, 마리나, 대형 숙박시설 등 다양한 랜드마크 조성 계획으로 한때 ‘K-골드코스트’라는 브랜드까지 붙으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러나 2023년 이후 핵심 시설의 착공 지연, 미분양, 공실률 급증 등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본론
1. 상가·숙박시설 공실률 급증과 자산가치 하락
• 2025년 1월 기준 거북섬 상가 공실률은 87%에 달하며, 3,253개 점포 중 13%만 입점해 있습니다.
• 생활형 숙박시설, 오피스텔 등도 미분양이 속출하며, 분양가보다 훨씬 낮은 ‘급매물’이 증가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흥 MTV웨이브파크리움’ 오피스텔 8층 매물은 2020년 분양가 2억 2천만 원에서 1억 5천만 원으로, ‘시화 MTV거북섬더웰’ 오피스텔도 분양가의 반토막 수준인 7천만~8,700만 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 상가를 분양받은 투자자들은 임대는 물론 매각도 어려워 ‘투자 재난’, ‘유령도시’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습니다.

2. 원인 분석
• 수요 예측 실패: 거북섬 개발 당시 상업용지, 오피스텔, 상가 등이 대규모로 분양됐으나, 실제 상주인구와 배후 수요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공급 과잉이 발생했습니다.
• 핵심 시설 미완공: 아쿠아리움, 워터파크, 호텔 등 핵심 랜드마크 시설이 대부분 착공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면서 관광객 유입이 제한적이고, 상권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 부동산 경기 침체: 2022년 하반기부터 전국적인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고금리, 경기 악화가 겹치면서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 공매 유찰 반복: 반얀트리 호텔 부지 등 알짜 부지마저 700억 원대까지 가격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연속 유찰, 올해는 1,400억 원에 재공매됐지만 투자자 관심이 없는 상황입니다.

3. 투자자 및 지역경제 영향
• 투자자들은 대출이자 부담, 자산가치 하락, 압류 등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 지역 상권 침체, 일자리 감소, 자영업자 폐업 등 부정적 파급효과가 커지고 있으며, 시흥시의 장기적 시장 회복도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거북섬 상가


결론
거북섬 부동산 시장은 과도한 공급과 미흡한 수요 예측, 핵심 시설 미완공,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심각한 침체를 겪고 있습니다. 상가·숙박시설의 공실률 급증, 자산가치 하락, 투자자 피해 등 부정적 영향이 확산되고 있으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시장 반등이 쉽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관광 인프라 확충과 교통 개선,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반전의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